북한이 원자로사고가 발생할 경우 방사능 물질 누출, 확산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이 자신들이 운영 중인 핵시설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조치로 해석된다. 원자로 등 핵시설 사고의 경우 그 피해가 한반도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방재, 사고 대비에 남북이 협력하는 방안을 고려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4월 12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은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물리학 2018년 제64권 제4호에 '방사성 먼지 립자들의 크기분포결정'이라는 논문을 수록했다.

논문은 "원자로사고를 비롯하여 핵물질에 의해 형성된 방사성 먼지 입자는 잔류 핵복사를 일으키는 기본원천이다. 이 방사성 먼지 입자들은 일정한 고도까지 올라갔다가 바람마당 속에서 수송확산 된다"며 "수송 및 확산과정에 방사성 먼지 입자는 중력과 비에 의해 지면으로 침하되여 방사성 오염 마당을 형성한다. 방사성 먼지 입자들의 크기 분포는 이 입자들의 수송 확산과 침하에서 매우 중요한 특성량이다"라고 설명했다.

논문은 원자로사고가 발생했을 때 방사능 먼지가 확산되는 상황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논문은 지난 시기 방사성 물질의 크기분포 평가에서는 초미세 입자의 운동특성을 연구하는 이산계의 일반동력학적 방정식을 이용했다며 논문에서는 몽테-까를로(MC) 방법을 이용해 방사성 먼지 입자들의 크기 분포 결정에 대해 고찰했다고 소개했다.

논문은 결론에서 MC 방법으로 방사성 먼지 입자의 크기분포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기하고 합리적인 알고리즘을 작성했다고 밝혔다.

 

원자로사고와 관련된 논문은 또 있다.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물리학 2018년 제64권 제4호에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 예측에 대한 연구'라는 논문이 담겼다.

논문은 "현재 국지 규모에서 방사성 물질의 대기 확산 및 수송과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며 "일반적으로 원자로사고와 관련한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연구는 가우스모형을 이용해 진행하고 있다. 이 모형은 평가속도는 빠르나 평탄한 지형과 시공간적으로 변하지 않는 바람마당을 전제로 했기 때문에 현실과 잘 맞지 않는 결함이 있다. 논문에서는 국지 규모와 변하는 바람마당 조건에서 방사성 물질의 대기확산과 선량평가방법에 대해 고찰했다"고 설명했다.

즉 이 논문은 원자로사고와 관련한 방사성물질의 대기확산에 관한 것이다.

논문은 선행연구와 새로운 방법으로 방사능 물질 확산에 대해 분석했다.

두 연구는 모두 원자로사고를 염두에 두고 있다. 이는 북한이 원자로 등 핵시설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문제는 북한이나 남한이나 어느 한 쪽에서라도 원자로사고가 발생하면 한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한반도 전체가 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향후 남북 협력 과정에서 원자로사고 등에 대비한 남북 공동연구와 정보 교환 등이 이뤄져야할 것으로 보인다.

강진규 기자  maddog@nkeconomy.com

* 독자님들의 뉴스레터 신청이 NK경제에 큰 힘이 됩니다.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