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사이트 모습
화웨이 사이트 모습

북한이 중국 정보통신업체 화웨이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갈등을 소개했다. 북한은 전문가를 인용해 화웨이 갈등이 경제패권, 과학기술패권을 둘러싼 전략적 경쟁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며 갈등이 전 방위로 확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로동신문은 6월 3일 “최근 미국 행정부가 ‘외부의 적들’로부터 자국의 정보통신기술과 서비스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며 “또 미국회사들이 외국정보통신업체의 기술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행정명령서를 작성했다. 전문가들은 이것을 중국의 정보통신기술업체인 화웨이의 사업을 금지시키기 위한 조치라고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로동신문은 5월 15일 미국의 안전에 위험을 조성하는 거래를 금지시킬 권한이 상무장관에게 위임되고 그 다음날 미국 상무성이 화웨이와 70개의 계렬사를 수출통제명단에 포함시킨다고 선포했다고 설명했다.

로동신문은 중국의 반응도 소개했다. 로동신문은 중국외교부 대변인이 정치적 목적으로부터 출발해 국가안전의 개념을 확대하고 수출통제 조치를 남용하면서 특정기업들을 차별하는 것은 시장규칙과 공정성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이라고 비난하며 자국 기업들의 합법적 권익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입장을 표명했다고 지적했다.

로동신문은 화웨이 사건이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로동신문은 “관측자들은 중미 분쟁이 경제패권, 과학기술패권을 둘러싼 전략적 경쟁인 것으로 해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앞으로 전 방위적으로 보다 확대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 근거로 로동신문은 화웨이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거부감이 비단 한 두 해 사이에 불거진 것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2000년대 초부터 갈등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세계 시장에서 화웨이의 경쟁력이 높아가면서 미국의 IT기업들이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를 제기하며 화웨이를 고소했다는 것이다. 또 지난해 12월 미국의 요구에 따라 캐나다에서 화웨이 수석재무관이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던 사례도 소개했다.

로동신문은 미국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화웨이 통신장비를 통한 중국의 도청행위를 거론하며 여러 나라에 이 공사의 제품을 구입 및 사용하는 것을 금지해달라고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이 차세대 이동통신망 하부구조 구축에서 화웨이를 배제시켰다는 것이다.

이 보도는 북한이 화웨이 사건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북한은 상황을 그대로 전했으며 중국, 미국 등 어느 한쪽 편에 일반적으로 동조하지는 않았다.

강진규 기자  maddog@nkeconomy.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