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극장] 같이 살거나 같이 죽거나 모노노케 히메
* 이 리뷰는 영화 모노노케 히메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일본 지브리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모노노케 히메는 한국에 원령공주로 알려졌다. 1997년 일본에서 개봉됐지만 한국에서는 2000년대 초반에 개봉됐다. 그리고 최근 한국에서 모노노케 히메라는 이름으로 재개봉했다.
이 애니메이션은 삶과 죽음, 자연과 인간, 갈등과 증오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일본 북쪽에 살고 있던 주인공 아시타카는 마을을 지키기 위해 재앙신을 죽이게 된다. 이로 인해 아시타카는 저주를 받고 마을을 떠나 왜 재앙신이 나오게 됐는지 찾아 나선다.
그 원인은 철을 생산하는 타타라 마을 사람들이 숲을 개간하면서 숲의 신과 동물들을 쫓아내고 죽였기 때문이었다. 여전히 타타라 마을은 숲을 지키려는 들개 일족과 싸우고 있었다.
인간이면서 들개 일족과 함께 숲을 지키기 위해 싸우는 모노노케 히메 '산'과 타타라 마을을 이끄는 '에보시'가 등장한다.
이 애니메이션의 특징은 단순히 선과 악을 구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숲을 지키려는 동물들과 모노노케 히메는 자연을 파괴하는 인간을 증오하고 생명의 원천인 숲을 지키려고 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람들과 다른 동물들을 죽인다.
에보시와 타타라 마을 사람들은 숲을 파괴하고 있지만 나름의 사정이 있다. 그들은 노비로 팔려가는 여성들, 사회적으로 멸시받는 나병 환자들이 살아갈 터전을 만들기 위해 철을 생산한다. 철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숲을 파괴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숲을 파괴했다며 에보시를 죽이려는 모노노케 히메 앞에 들개 일족에게 남편을 잃은 여성들이 등장한다. 모두가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이고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인 것이다.
두 세력의 전쟁은 극단적인 상황으로 빠져든다. 숲도 인간도 모두가 죽을 수 있는 길로 달려간다.
이를 막는 것이 주인공 아시타카이다. 아시타카는 두 세력의 다툼으로 인해 생긴 재앙신 때문에 저주를 받은 피해자이다. 하지만 그는 복수하지 않는다.
에보시와 타타라 마을 사람들을 이해하고 그들을 도우려고 한다. 자신을 죽이려고 하는 숲의 동물들과 모노노케 히메 역시 도와주려고 한다.
아시타카는 모노노케 히메를 사랑하면서도 타타라 마을 사람들과 공존을 주장한다.
결국 아시타카로 인해 모두가 변하게 된다. 숲의 동물들과 모노노케 히메는 좋은 사람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타타라 마을 사람들도 들개 일족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하고 생각을 바꾸게 된다.
결말에서 아시타카는 모노노케 히메와 타타라 마을을 중재하며 살아갈 뜻을 밝힌다.
필자는 감독이 질문을 던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서로를 이해하려 노력하면서 함께 살아갈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주장만 고집하면서 서로 싸우고 같이 죽을 것인지.
남과 북의 관계도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두 세력과 닮아있다. 서로 명분이 있다고 주장하고 상대방을 인정하지 않으며 싸우고 있다. 남과 북이 자신이 피해자라고 주장하지만 가해자이기도 하다.
남과 북이 계속 극단적으로 대립하고 싸우면 결국에는 공멸할 것이다. 누구도 그것을 바라지는 않을 것이다. 결국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마음이 필요하다.
필요하다면 필자는 아시타카 같은 역할을 마다하지 않을 것이다. 마침 아시타카와 필자는 모습도 닮았다.
아리랑극장 평점: 4/5 ★★★★☆
제작국: 일본
개봉일: 1997년 7월
감독: 미야자키 하야오
* 이 리뷰는 NK경제가 직접 비용을 지불해서 진행한 것입니다. NK경제는 광고나 협찬 시 분명히 그 사실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