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통, 지자체에 의전 강화 요청 공문보내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이하 민주평통)가 지난달 지방자치단체들에 간부 자문위원들의 의전을 강화해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민주평통은 1981년 평화통일자문회의법에 따라 만들어진 대통령 자문기구로 민주적 평화통일정책의 수립 및 추진에 관해 대통령에게 건의, 자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족 당시에는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였다가 1987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NK경제가 입수한 지자체 공문들에 따르면 민주평통은 지방자치단체 행사 시 간부 자문위원들의 위상에 맞도록 의전과 예우(좌석배치, 내빈소개 등)를 강화해줄 것을 요청했다.
민주평통은 지자체에 보낸 공문에서 자문위원들이 무보수 명예직으로서 최소한의 예우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자치단체 공식 행사 개최 시 간부 자문위원들을 초청하고 각급 사회단체(장)보다 우선해 의전 서열을 반영해달라는 것이다.
민주평통은 자문위원 의전서열도 지자체에 전달했다. 의전서열은 ①수석부의장, ②부의장(행정구역 건재순 및 이북5도, 여성계 순), ③중앙 상임위원회 10개 분과위원장, 운영위원, ④지역협의회장, ⑤상임위원, ⑥자문위원 순이라고 한다.
또 민주평통은 국가기관 및 공공단체에서 발간되는 통일관계 자료를 자문위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민주평통은 지역단위 남북교류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 관련 조례 제정이 필요하고 공문에서 지적했다. 그리고 조례에 의한 ‘남북교류협력위원회’ 구성 시 민주평통 지역 간부위원(지역부의장, 협의회장, 지회장 등)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민주평통에 대한 지자체의 안정적 지원을 위해 민주평통 대행기관 운영에 관한 조례도 제정해달라고 지적했다.
민주평통의 자문위원은 현재 1만9710명에 달한다. 또 간부 자문위원들 역시 수십 명이 활동하고 있다.
강진규 기자 maddog@nkeconom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