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국정원
출처: 국정원

8월 7일 국가정보원이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판교캠퍼스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국정원은 지난 2022년 11월 민관군이 함께 사이버위협 정보 및 기술을 공유하고, 사고 발생 시 국가 차원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IT 허브인 판교에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를 개소한 바 있다. 

국정원은 ‘국가사이버안보협력센터’ 명칭이 상급기관인 '국가사이버안보센터'와 유사하다는 점 그리고 향후 자유로운 환경에서 민관 협력을 더 강화하겠다는 의미에서 '판교캠퍼스'로 명칭을 변경했다.

그리고 7일 명칭 변경 취지 등을 설명하기 위해 윤오준 국정원 3차장 주관으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종합지, 통신사, 방송국, 경제지 등에서 50여명의 기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국정원은 사이버위협 대응 민관 협력 강화, 정보 공유 강화 등에 대해서 소개했다.

하지만 간담회에 참석한 일부 기자들은 사이버위협 대응 보다는 북한 해킹에만 관심을 나타냈다.

문제는 국정원 등 정부 기관이 밝히거나 명확히 확인된 내용이 아니라 기자들이 상상(?)한 내용을 집요하게 질의했다.

한 기자는 북한이 챗GPT로 악성코드를 만들어서 공격하는 것이 아니냐고 국정원에 질문을 했다. 이에 국가사이버안보센터장이 북한이 챗GPT로 만든 악성코드가 확인된 바 없다고 답변했다.

북한이 러시아와 함께 한국에 사이버공격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도 나왔다. 북한과 러시아가 다방면으로 협력을 강화하고 있고 IT 분야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공동으로 사이버공격을 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된 적은 없다.

국정원은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일반적인 답변을 했다.

또 다른 기자는 김정은 총비서가 북한 해커들에게 한국 공격을 명령했다고 단정하듯이 김정은 총비서가 최근 해킹과 관련해 무슨 명령을 했느냐고 물었다.

이런 내용은 확인되지도 않았으며 설령 정보당국이 알고 있어도 공개하기 어려운 내용이다. 공개할 경우 정보 입수 경로가 노출돼 정보원들이 위험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질문하는 기자들의 태도는 '판교캠퍼스건, 민관 협력이건 그런거 관심없고 내가 기사 써야 하니 북한이 또 해킹했다고 하나 던져달라'는 분위기였다. 없는 사실이라도 만들어서 내놓으라는 분위기였다.

간담회에서는 국군정보사령부 군무원의 정보 유출과 관련된 질문도 나왔다. 국정원에 그것도 3차장에게 국군정보사령부 군무원 정보 유출 사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 국정원 입장이 무엇이냐고 질의했다.

정보사령부가 국정원과 협력하는 관계이지만 엄연히 국정원과 별개의 국방부, 군 소속 기관이다. 국정원이 국방부 소속 기관의 사안을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논란이 되고 두 기관 사이에 불란을 조장할 수 있는 사안이다.

더구나 국정원 3차장은 사이버와 과학기술 안보 분야를 담당한다. 방첩, 대북 정보분석, 휴민트 등과 관련된 사안은 1차장, 2차장 쪽에서 담당하는 분야다.

국정원도, 3차장도 답하기 어려운 내용을 질문한 것이다. 국정원은 이에 대해 언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답변하지 않았다.

기관들의 관계와 국정원의 업무 분장을 몰랐거나 아니면 국정원이 국군정보사령부를 비난했다는 내용을 쓰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부 기자들은 자신이 북한 해킹 전문가인 것처럼 말했다. 18년 기자 생활 중 14년을 북한 IT를 취재한 NK경제 기자도 전문가라고 말을 못하는데.

이런 기자들은 이름만 들으면 모두가 아는 유명 언론사 기자들이었다.

만약 북한이 해킹을 한 것이 확인이 돼 그것을 기사로 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뇌피셜(혼자만의 생각)로 그림을 그려놓고 그것에 억지로 끼워 맞추려고 질문을 하고 답변을 유도하는 것은 말 그대로 소설을 쓰는 것이다.

기자간담회에서 그런 기자들이 평소에는 과연 어떻게 북한 관련 기사를 쓸까? 속된 표현으로 안 봐도 비디오다. 

어쩌면 대형 언론사들과 기자들은 오보로 남북 갈등이 고조되고 충돌이 발생해서 사람들이 죽고 다쳐도 좋은 취재 기회라고 생각하는 것은 아닐까 의구심 마저 든다. 

기자가 특종을 쫓는 직업이지만 최소한의 도덕과 윤리는 있다. 소설로 분란과 혼란, 공포를 조장하는 것은 기자가 해서는 안 될 일이다.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