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스마트폰 판매 창구 모습

유엔(UN)의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 내 휴대전화 시장이 번창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은 지난 26일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UN은 2018년부터 북한의 휴대전화 하드웨어 수입을 제한하는 제재를 시작했다. 이같은 UN 제재가 시작되면서 2017년 북한의 8800만 달러 상당의 중국 휴대전화 수입규모가 2018년엔 0까지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미 600만명의 사람들이 휴대전화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로이터 통신은 UN 제재가 공식적 수입을 막았음에도 북한과 중국의 비공식적 국경무역이 지속되기 때문이라고 전문가와 탈북자들은 말했다고 설명했다.

은퇴한 미국 정보요원인 윌리엄 브라운은 휴대전화 하드웨어 부품이 “중국 국경을 통해 아주 쉽게 밀수입된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에 잘 알려지지 않은 휴대전화 제조업체들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중국이 북한에게 제품을 제공하고 있는 보인다고 지적했다.

북한 휴대전화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대만 제품이고 운영체제는 구글의 오픈소스 안드로이드이며 메모리 카드는 일본의 도시바 제품이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이터 통신은 대만의 반도체 제조업자인 미디어텍(MediaTek)이 인터뷰에서 북한에 어떠한 제품도 보내지 않았고, 제재를 준수했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또 도시바 역시 북한 휴대전화사업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는 것이다.

구글은 누구든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제재위반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로이터 통신은 북한의 휴대전화 시장의 확대 및 번창의 또 다른 이유 중 하나는 북한 내 휴대전화 수요가 상당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전문가들과 탈북자들에 의하면 북한의 기본 휴대전화는 국영상점이나 사설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100달러에서 400달러의 가격에 팔리고 있다. 또 휴대전화는 200분 통화서비스 요금제와 함께 판매된다는 것이다.

로이터 통신은 북한 주민들의 월 평균 수입이 100달러인 것을 감안했을 때 이 같은 가격은 상당히 비싼 가격이라고 지적했다. 

로이터 통신은 설문조사에서 90% 이상의 탈북자들이 휴대전화가 일상생활을 윤택하게 만들었다고 응답했으며 절반은 휴대전화를 시장 활동에 사용했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 조사에는 북한 휴대전화를 사용한 적 있는 126명의 탈북자들이 참여했다. 

로이터 통신은 또한 북한 정권이 이 같은 자국 스마트폰 수요 급증을 이용해 수익을 창출하고 주민들을 감시하는 도구로 사용한다고 보도했다.

신재희 기자  jaeheeshin@nkeconomy.com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