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정부가 운영 중인 정보시스템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신기술 적용이 쉬워진다.

행정안전부는 행정, 공공기관이 디지털 정부서비스를 개발 또는 재설계할 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지능형 기술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을 개발한다고 1월 21일 밝혔다.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은 어느 정부기관이든지 디지털 정부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서버, 스토리지 등의 하드웨어(HW)와 시스템 소프트웨어(SW) 및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를 별도로 구매하지 않고 한 두 번의 마우스 클릭으로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서비스 기획, 개발준비 단계에서 하드웨어 규격정의, 용량산정부터 발주 및 도입 후 각종 소프트웨어 설치와 환경설정 까지 수개월이 소요되던 과정을 신청만으로 끝낼 수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지능형 기술을 이용한 서비스 개발을 위해 부처별로 플랫폼을 구축하는 대신,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해 중복 개발을 방지하고 개발, 운영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관리도 자동화해 서비스 운영 중에는 하드웨어의 부족여부를 판단해 자동 확장, 자동 회수하고 보안위협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안 및 통합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행안부는 2018년에 수립한 정보화전략계획에 따르면 공공정보화 사업에 이번에 구축하는 플랫폼을 본격 적용하는 경우 정보자원을 공동 활용해 연간 약 460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올해 연말까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공통기반을 구축해 안정성 여부를 시험하고 늦어도 내년 말까지 행정, 공공기관이 시범 적용해 볼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디지털정부 클라우드 플랫폼은 국내 클라우드 생태계 조성과 민간 기관들과의 기술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공개소프트웨어 기반의 개방형으로 구축된다.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와 중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복잡한 조달절차 없이 필요한 시기에 민간에서 개발한 서비스를 간편하게 연계할 수 있게 돼 민간, 공공서비스 융합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은 “전자정부를 넘어 디지털정부로의 전환은 국민이 확실한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정부혁신”이라며 “행정, 공공기관이 중복투자나 시행착오 없이 첨단기술을 적용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디지털정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aeheeshin@nkeconomy.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