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31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2020 전자정부 지원 사업 설명회’에서 행정안전부 관계자가 AI 범정부 챗봇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전자정부가 온다. 정부는 AI로 국민 개개인에게 맞춤형 공공 서비스를 안내하고 AI 챗봇이 상담을 해주는 방안이 추진한다. 또 전자정부 서비스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AI로 대응하고 병무 서비스에 AI를 적용하는 방안도 진행된다. AI 기반 서비스들은 앞으로 1~3년 내로 현장에 적용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1월 31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2020 전자정부 지원 사업 설명회’를 열고 올해 전자정부 지원 사업 추진 방향과 세부 사업내용을 소개했다.
올해 정부는 1076억 원을 투입해 19개 전자정부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2020년 전자정부 지원 사업의 화두는 인공지능(AI)으로 알려졌다.

행안부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정부서비스를 개개인에 맞춰 알려주고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구축을 추진한다. 바로 이 ‘지능형 국민비서 서비스 구축’ 사업에는 올해 48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행안부는 공공기관 대민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약 8000개 전자정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국민들이 인지하지 못하거나 이용 방법을 모르는 서비스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행안부는 회원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적용 조건을 AI로 분석해 선제적으로 알려주는 개인화 공공 서비스를 만들 방침이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생활정보, 건강정도 등을 제공해 국민들의 비서 같은 역할을 하는 서비스를 개발한다는 것이다. 

1월 31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2020 전자정부 지원 사업 설명회’에서 공개된 지능형 국민비서 서비스 구축 방안

또 행안부는 약 49억 원의 예산으로 ‘범정부 민원상담 365 서비스(챗봇 공통기반) 구축’ 사업에도 나선다. 이 사업은 AI, 빅데이터 기술 등을 이용해 국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민원상담을 받을 수 있는 범정부 단일 챗봇 채널을 만드는 것이다.

행안부는 정부, 공공기관들이 각각 챗봇을 개발할 경우 예산 중복 사용과 비효율이 발생한다고 보고 공통 챗봇 개발에 나선 것이다. 행안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이 사업에 20개 기관 39개 서비스가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챗봇이 개발되면 참여 기관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행안부는 AI 기반 챗봇을 개발해 민원상담 365 포털(가칭)에서 국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국민들이 365일 24시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밖에도 올해 ‘AI 기반 병무민원신청시스템 구축 2차’ 사업이 진행된다. 이 사업은 AI로 병우 사항에 대한 상담을 해주는 것은 물론 업무 담당자들을 도와주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또 행안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AI 기반 적응형 보안시스템 3차’ 구축 사업을 올해 진행한다. 이 사업은 AI 기술을 정부 1500여개 서비스 보호에 활용하는 내용이다. 정보보호체계에 AI 기능을 적용해 사이버위협과 공격을 예측, 예방, 탐지하는 것이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이 사업을 2018년부터 진행해 왔는데 올해에는 AI 기능을 더 고도화하고 보호 대상 서비스를 기존 898개에서 1481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강진규 기자  maddog@nkeconomy.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