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일본이 과거 을사조약으로 국권을 침탈하기 전 우편·통신 부문부터 장악했던 상황을 소개했다. 그만큼 우편, 통신의 기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로동신문은 과거 일본의 우편·통신 제도 장악과 관련한 리철민 조선우표박물관 관장의 기고문을 8월 2일 소개했다.

리철민 관장은 “일제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빼앗고 이 지구상에서 조선이라는 나라를 아예 없애버리려고 날뛰었다”며 “그 가운데는 우리나라의 근대 우편·통신제도를 말살한 죄악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이 1904년 2월 군사적 위협으로 한일의정서를 조작한 후 조선의 주요 명맥을 장악하기 위해 나섰으며 그중 먼저 눈독을 들인 것 중 하나가 바로 우편·통신 부문이었다고 지적했다. 그 이유는 다른 나라들에 대한 침략과 지배를 실현하는데 우편·통신의 역할을 중요하기 때문이었다고 덧붙였다.

리철민 관장은 1904년 3월 이토 히로부미가 일본 공사 하야시 곤스케와 조선 정부의 우편·통신기관을 강탈하기 위한 흉계를 꾸몄다고 전했다. 일제가 조선의 통신 업무를 자신들의 통신 업무에 통합하고 조선의 체신기관들을 일본 정부의 감독 아래 둔다는 안을 만들어 그것을 받아들일 것을 조선 정부에 강요했다는 것이다.

리 관장은 당시 조선의 우편·통신 상태가 전국에 서비스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계속 확대되면서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우편·통신 체계와 운영방법도 비교적 정확했고 경영관리도 법에 따라 엄격히 진행됐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일본은 계속 조선 정부를 압박했고 1905년 3월 일한통신기관협정서 체결을 강요했다고 리 관장은 소개했다. 결국 일제의 압박으로 3월 30일 일본의 안을 승인되고 4월 1일 일한통신기관협정서가 공포됐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 협정으로 조선의 우편·통신 기관들이 일본에 강제적으로 통합됐다는 것이다.

리 관장은 일본이 우편·통신기관강탈을 위해 군대와 경찰까지 동원했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결국 1905년 7월 2일 강계우편국이 마지막으로 징발됨으로써 조선의 우편·통신 기관들이 일제의 수중에 완전히 들어갔다는 것이다.

북한은 우편·통신 제도가 일본에 통합된 후 조선의 식민지화가 더욱 가속화됐다고 전했다. 일본이 이렇게 우편·통신을 장악한 후 1905년 11월 을사조약을 강행했으며 1906년에는 조선통감부가 설치됐다는 것이다.

리 관장은 일제가 우편·통신 기관을 국권침탈과 식민지경제 약탈에 이용했다고 비판했다. 사회적 진보와 문명생활 보장에 이바지해야 할 우편·통신 사업이 조선에서는 철두철미 일제의 식민지통치를 위한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리 관장은 우편·통신을 일제에 빼앗기고 식민지가 된 과거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글을 통해 북한이 우편·통신 등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엿볼 수 있다. 우편·통신이 국가 체계의 근간이며 이를 빼앗길 경우 나라가 망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강진규 기자  maddog@nkeconomy.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