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김책공대
출처: 김책공대

 

북한 김책공업종합대학은 체신학부 한룡호 연구사가 전송경로의 봉사품질(QoS) 평가에 대한 선행문헌연구에 기초해 다중경로전송에서 QoS 평가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을 제기하고, 경로QoS을 실시간으로 평가하기 위한 동적평가분석을 진행해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고 6월 4일 홈페이지에 소개했다. 

대학은 경로전송의 봉사품질(QoS)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안돼 이용되고 있지만 여러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QoS는 Quality of Service, 서비스 품질을 뜻하는 용어로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흐름 등에 우선 순위를 정해 데이터 전송에 특정 수준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능력을 지칭한다.

대학은 인터넷규약(IP)망에 기초해 실시간 매체전송을 진행할 때 다중경로전송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의 QoS 평가 방법은 대체로 두 단 사이의 전송시간지연과 시간지연요동, 패킷손실 상태를 평가한 것으로서 이러한 파라메터들이 어느 경로의 속성인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이로부터 다중경로전송의 QoS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QoS동적평가기구를 실현해야 하며 경로의 QoS에 변화가 생기면 현재의 통계분석기구로 전송 QoS를 실시간으로 평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로부터 QoS동적평가기구를 실현해야 한다고 대학은 전했다.

경로 QoS의 종합적인 평가문제도 있다고 한다. QoS평가지표에는 시간지연과 시간지연요동, 대역, 패킷손실율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런 지표들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은 한룡호 연구사가 개발한 방법으로는 IP망에서 단과 단 사이의 다중경로들의 서비스 품질을 동적으로,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