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남북 교류 협력을 중단하고 연일 북한을 규탄하고 있는 가운데 다른 정부 부처들이 남북 협력 준비에 나서 주목된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북한 경제, 남북 경제협력 등과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북한연구학회와 계약을 맺고 오는 10월까지 ‘북한경제 공식문헌 해제’ 사업을 진행한다. 이 사업은 1990년대 이후 북한경제의 공식문헌에 대한 개괄적 설명 및 정리를 제공하는 해설서를 발간하기 위한 것이다.
또 기재부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9월까지 ‘국제 사회의 대북협력사업 자료집’을 발간하기로 했다. 이 사업은 국제비금융기구 및 금융기구의 대북지원 사례 검토, 대북협력사업 가능성 및 시사점을 평가, 분석하는 사업이다.
기재부는 한국개발연구원과 오는 12월까지 ‘The DPRK Economic Handbook 발간 및 국제적 활용 방안’ 사업을 추진한다. 북한 경제에 대한 기본적인 사실과 역사, 데이터 분석 결과들을 담은 종합적인 북한 경제영문개설서를 발간하고 국제적으로 배포하겠다는 것이다.
기획재정부가 남북 협력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추진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사업은 모두 향후 남북 경제협력을 위한 기반 조성 사업으로 해석된다.
문화체육관광부도 최근 조달청 나라장터에 ‘2024년 남북문화교류 교육 및 포럼’을 진행한다고 공고했다.
문체부는 남북문화교류가 남북의 이념과 체제를 넘어서 상호 연대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라며 남북 문화교류 교육 및 포럼을 통해 북한의 문화예술계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체계적·전략적 남북 문화교류·협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에서 문체부는 전문가 포럼 등 개최를 통해 남북 문화교류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교육을 통해 남북문화 통합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할 방침이다.
문체부는 남북 전통문화 및 생활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남북 대중문화 및 언어, 남북 문화공동체 등의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한다. 문체부 역시 향후 남북 교류 협력을 고려해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남북 교류 협력 주관 부처인 통일부는 남북 교류 협력을 중단한 것은 물론 민간 남북 교류 협력 사업도 승인하지 않고 있다. 또 연일 북한에 대한 비난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즉 주무부처는 남북 대결에 몰두하고 있는 사이 다른 정부 부처들이 남북 교류 협력 준비를 하고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