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4일 카이스트가 주회한 남북 과학기술 전문가 회의에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KAIST(총장 신성철)는 지난 9월 14일 남북 과학기술의 협력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향후 전망 및 중장기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전문가 회의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판문점 시대의 남북 과학기술협력: 시혜에서 호혜로’라는 주제로 이날 열린 회의에서는 10여 년 이상 북한 정치·경제 및 과학기술을 다뤄온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참석해 4.27 판문점 정상회담 이후 급진전 된 남북 및 북미 관계를 조망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변학문 북한과학기술연구센터 연구위원은 북한은 2000년대 초부터 과학기술 중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전 인민의 과학화·정보화를 진행해왔다고 밝혔다. 관련한 과학자 우대 조치로 정보통신, 기계 산업 등 일부 분야는 나름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변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그는 이어 남북 교류협력은 ‘남측의 자본·기술, 북측의 자원·인력’이라는 시대착오적 프레임에서 벗어나 일방적 지원이 아닌 상호 이익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IT·과학기술 분야를 취재해온 강진규 NK경제 기자는 그동안 해커로만 인식되어왔던 북한 IT 개발자들의 모습을 소개했다. 강 기자는 조선컴퓨터센터(KCC) 온라인 커뮤니티를 예시로 블록체인, 머신러닝 등 최신 흐름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북한의 변화상을 주목했다. 

남북 자원협력 전문가인 김동환 국제전략자원연구원 원장, 남북 경제교류 전문가인 권영경 통일교육원 교수, 남북 정세 관련 전문가인 강진웅 경기대 교수, 북한 과학소설(SF) 소설 연구자인 서동수 상지대 교수가 토론자로 참석해 남북 협력의 지속성 문제와 학술연구 협력을 포함한 점진적 교류의 필요성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북한 SF 분석에서는 변혁에 대한 북한 내부의 욕망과 체제 비판도 일부 보인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은 이번 전문가 회의를 바탕으로 북한 과학기술 수준 및 환경, 정책 등을 분석해 남북 과학기술 협력의 중장기 의제 및 유망 협력 분야를 도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구체적인 접근법을 제안하는 보고서와 후속 연구도 진행할 계획이다. 

김소영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장은 “급변하는 남북관계에 따른 새로운 과학기술정책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분단체제의 근본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장기적 협력 방안을 지속해서 연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maddog@nkeconomy.com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