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역사서 고려사에 대해 고려 역사를 연구하는 귀중한 사료라면서도 반인민적 역사관을 반영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은 최근 홈페이지를 통해 고려사를 소개했다.
대학은 고려가 민족의 단합된 힘과 지혜로 나라의 경제와 문화를 발전시키고 거란을 비롯한 외래 침략자들의 침략과 약탈도 단호히 물리친 자랑찬 역사를 가진 나라였다며 이런 역사는 우리 민족의 귀중한 고전문헌인 고려사에 잘 반영돼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은 조선왕조 초기에 편찬된 고려사는 고려의 약 500년(918-1392년)의 역사를 기전체(본기와 열전, 지)형식으로 서술된 역사책이라고 전했다.
고려사의 편찬사업은 조선왕조가 성립한 1592년부터 시작해 반세기 이상 걸쳐 1451년에 완성됐다고 설명했다.
고려사는 조선왕조 성립 직후인 정도전(판삼사사)과 정충(정당문학) 등이 편찬한 고려국사에 의거해 편찬됐지만 고려국사는 고려 말기의 역사적 사실이 잘 반영되지 못하고 복잡한 사건들이 계속 발생했으며 편년체 형식으로 편찬돼 수정작업이 계속됐다고 한다. 기전체 형식의 고려사편찬사업은 1449년(세종 31년)부터 시작해 1451년에 가서야 결실을 보게 됐다는 것이다.
고려사는 정사체의 기전체로서 총 139권으로 구성됐으며 목차 2권, 세가 46권, 지 39권, 년표 2권, 열전 50권으로 돼 있다고 한다.
고려사의 세가는 기전체의 본기로서 제1대 왕인 태조 왕건으로부터 34대왕 공양왕까지 475년간에 걸쳐 고려왕조의 왕실을 중심으로 벌어진 중요한 정치, 군사, 경제, 문화부문의 중요한 역사적 사실들을 왕대별로 년, 월, 일 순서로 비교적 구체적으로 서술했다.
고려사의 지는 천문, 력, 오행, 지리, 례, 악, 여복, 선거, 백관, 식화, 병, 형법의 분류체계에 따라 고려의 통치기구와 관직제도, 토지제도를 비롯한 정치경제관계, 봉건의례와 외교관계, 과학기술 및 문학예술관계, 군사 및 법률관계 등 각종 제도를 년, 월, 일 순서로 편찬했다.
고려사의 년표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왕의 왕대에 따라 매해를 간지로 표기하고 중국왕조의 각 왕대와 대조해 표기하고 가장 중요한 사건, 사실들을 삽입했다.
고려사의 열전은 봉건왕실의 후비, 종실, 공주와 이름난 봉건관리들, 외적과의 싸움에서 이름을 날린 무인들, 봉건유교도덕을 잘 지킨 인물들, 문학예술에서의 대표적인 인물들, 비법행위를 많이 한자들, 반역죄로 규정받은 자들을 부류별로 서술했다.
대학은 고려사가 고려사 연구의 기본 자료로서 커다란 사료적 가치를 가진다고 지적했다.
고려사의 사료적 가치는 봉건지배계급과 외래침략자들을 반대하는 인민들의 투쟁이 적지 않게 반영돼 있다는 것이라며 자료들이 일정하게 왜곡되거나 부족된 면도 있으나 고려인민들의 반침략, 반봉건투쟁의 기본자료가 된다고 전했다.
대학은 이처럼 고려사가 고려사 연구의 1차적인 귀중한 사료로 된다면서도 편찬자들의 반인민적인 역사관으로 인해 적지 않은 제한성을 가진다고 비판했다.
대학은 “고려사는 정권을 잡은 국왕을 비롯한 봉건통치배들의 통치역사를 중심으로 서술한 것”이라며 “서술의 대부분이 국왕과 봉건통치배들의 통치와 착취행위를 서술한 것이고 역사의 주체이며 창조자인 인민대중의 활동을 완전히 도외시했다. 특히 인민들의 반봉건투쟁을 적(賊), 도적(盜賊)으로 왜곡하거나 간단히 서술했고 승리의 요인도 인민대중의 역할이 아니라 국왕이나 봉건통치배들, 개별적 명장들의 역할로 평가했다”고 지적했다.
또 대학은 고려사의 제한성이 봉건유교적인 대의명분의 입장과 사대주의적 입장에서 역사적 사실을 평가정리하고 고려말기의 역사적 사실을 심히 왜곡 날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고려사는 고려사 연구의 기본자료로서 커다란 사료적 가치와 함께 일련의 제한성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