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국가·공공기관 인공지능(AI) 시스템 보안 가이드라인 초안을 마련해 의견 수렴에 나섰다. 이르면 12월 중 국정원이 전체 국가·공공기관에 적용되는 AI 보안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11월 중순 국정원이 전체 중앙부처와 광역지자체에 공문을 발송했다.
국정원은 각급 기관에서 AI 시스템 구축, 활용 시 고려해야 할 보안 대책을 담은 보안가이드라인을 마련 중에 있다며 보안 가이드라인 초안에 대해 11월 26일까지 의견을 전달해달라고 요청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공문은 국방부, 외교부, 통일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법무부, 교육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부, 문화체육관광부, 금융위원회,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검찰청 등 전체 정부 기관과 서울시를 비롯한 모든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발송됐다.
국정원은 지난 2023년 6월 챗GPT 등 생성형 AI 활용 보안 가이드라인를 제작한 바 있다. 생성형 AI가 확산되면서 국가·공공기관의 관점에서 보안 대책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국가·공공기관 인공지능(AI) 시스템 보안 가이드라인은 생성형 AI 뿐 아니라 국가·공공기관의 전반적인 AI 활용 보안에 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과 정부 기관들에서는 이번 가이드라인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 철저히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해당 가이드라인에는 AI 보안 위협, AI 시스템 보안 대책 등에 대한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이 11월 26일까지 의견을 수렴하는 만큼 최종 가이드라인이 이르면 12월 중 확정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내년부터 국가·공공기관들이 가이드라인을 AI 시스템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