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도 도시 건축과 관련해 3차원 도시모형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조선건축가동맹 중앙위원회 기관지로 평양 공업출판사가 제작하는 ‘조선건축 2024년 4호’에 ‘ArcGIS와 Sketch Up을 결합한 3차원 도시모형화 방법’라는 내용이 수록됐다.
ESRI는 1969년 미국에서 설립된 지리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다. ESRI가 제공하는 ArcGIS는 미국, 한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지리정보시스템(GIS) 제품이다. 스케치업(Sketch Up)은 다국적 기업 트림블이 제공하는 3D모델링 프로그램이다. 즉 북한 건축 전문가들이 GIS와 3D 모델링을 결합해 도시를 3차원으로 모형화했다는 것이다.
조선건축은 “3차원 도시모형화는 먼저 Sketch Up에서 도시공간 요소들에 대한 개별적 모형들을 만든 다음 ArcGIS의 3차원 확장모듈인 ArcScene과 ArcGlobbe에서 공간자리표를 창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며 “이 결합방식에는 ArcGIS의 3차원 모형부호화 방식과 Sketch Up의 3차원 도시모형을 ArcGIS가 지원하는 Multipatch 자료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식이 있다”고 설명했다.
Sketch Up에서 작성한 3차원 도시모형들은 ESRI Multipatch형식의 다면체자료로 출력해 ArcGIS 3차원 모듈에 제공하며 ArcGIS에서는 도시공간요소들에 대응한 벡터자료들을 Sketch Up이 지원하는 자료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조건건축 2024년 4호에는 ‘3차원도시설계에서 GIS에 기초한 절차모형화’에 관한 내용도 담겼다.
조선건축은 컴퓨터생성구성방식CGA(Computer-Generated Architecture)에 기초한 작업흐름은 절차모형화(PM)를 기초로 한다며 3차원 도시설계에서 지리정보체계(GIS)에 기초한 절차모형화를 소개했다.
지리정보체계에 기초한 자료모임은 위성지형화상, 도로중심선들과 2차원구역계획다각형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은 도시모형들을 구축하기 위한 절차모형화의 첫 번째 단계라는 것이다.
또 2차원구역계획다각형들은 지역이용, 건축면적비, 건물범위, 최대허용높이 등을 포함해 일부 주요한 파라미터들을 가진다고 한다. 그리고 이 기본 파라미터들이 3차원도시계획작성을 위한 구획 재분할 및 통합에 따르는 입력 자료들이 된다는 것이다.
이들 내용으로 볼 때 북한은 해외 프로그램, 기술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3차원 도시모형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독자님들의 뉴스레터 신청(<-여기를 눌러 주세요)이 NK경제에 큰 힘이 됩니다. 많은 신청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