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윤석열 대통령이 부정선거 때문에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는 주장과 관련해 자신들은 부정선거에 대한 판단을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1월 31일 기자들에게 “국정원은 선관위 전산 시스템상 많은 취약성을 확인했으나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부정선거 판단은 내리지 않았다고 국정원장이 진술한 바 있음을 알려드린다”고 밝혔다.

SBS는 앞서 조태용 국정원장이 경찰 조사에서 "총선 이후부터 비상계엄 전까지 대통령에게 부정선거 의혹에 대해 보고한 적 없다"고 진술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국정원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SBS에 따르면 조 원장은 경찰 조사에서 "반국가세력에 대한 정보보고는 하지 않았고, 대통령이 생각하는 반국가세력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정원은 “국정원장은 반국가세력이 북한의 지령을 받거나 북한 편을 들어 국익을 해치는 세력이며 대통령님의 인식에 공감하나 비상계엄은 맞는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진술한 바 있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반국가세력을 처단하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고 주장하며 국회에 군을 투입했다. 또 윤 대통령은 국정원 등의 보고를 통해 선거관리위원회에 문제가 있고 부정선거가 있었다고 판단해 선관위에도 군을 보냈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정원의 설명은 부정선거 내용을 보고하지 않았고 반국가세력을 북한 관련 세력으로 보고 있지 국회의원들로 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