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부부장은 7월 29일 담화를 통해 “최근 미국 백악관 당국자가 대통령이 첫 임기기간 3차례의 북미 수뇌 회담으로 한반도를 안정시키고 비핵화에 관한 첫 수뇌급 합의를 이룩했으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북한 지도자와의 대화에 여전히 열려있다고 밝혔다”며 “우리는 지난 북미 대화에 대한 미국측의 일방적 평가에 그 어떤 의미도 부여하고 싶지 않다”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2025년은 2018년이나 2019년이 아니라는데 대해 상기할 필요가 있다며 북한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그 능력에 있어서 또한 지정학적 환경도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는 사실에 대한 인정이 전제 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결코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할 최소한의 판단력은 있어야 할 것이며 그렇다면 그러한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나는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며 “하지만 북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실현 목적과 한 선상에 놓이게 된다면 그것은 대방에 대한 우롱으로밖에 달리 해석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