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가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강화하겠다며 미국에 통일플러스(+)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일부는 통일연구원 수탁과제로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해외 통일+센터 설립 및 운영 방안 연구’를 진행했다.

NK경제가 입수한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통일부는 해외에 통일+센터를 설치함으로써 통일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획기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며 이같은 방안을 연구했다.

통일부는 해외 통일+센터 시범센터 및 정규 센터 1호 유력지로 미국을 장점 결론 내리고 올해 4월 미국 현지 조사까지 진행했다. 후보로 뉴욕, 필라델피아, 워싱턴 D.C. 등이 분석됐다.

통일부는 센터 설립 시 필요한 관련 법규 분석, 센터의 성격 등도 분석했으며 시범 운영 시 부지, 공간 구성까지도 연구했다. 또 시범 운영에 3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며 2031년 정규 센터를 개소하는 방안까지 연구에 넣었다. 미국 통일+센터 센터장 등 관리 인력은 통일부 및 유관 부처에서 파견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연구에서는 통일 공공외교의 글로벌 전진기지를 구축하는 것, 한반도의 상황과 통일 비전을 국내외적으로 상기하고,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국제 시민과 해외 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상징적 기관의 설립하는 것이라며 결론을 내렸다.

이 연구는 사전 연구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하지만 사실상 통일부가 설립을 염두에 두고 세부 사안을 파악한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가 진행된 시기는 미묘하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고 대통령 선거가 진행되는 상황이었다. 

통일부가 실제 센터 설립을 추진할 경우 논란이 예상된다.

남북, 통일 부문 전문가들은 지금 미국에 센터를 설립하는 것이 맞는지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윤석열 정부 기간 통일부가 국내에서도 제 역할을 하지 못했는데 미국에서 무엇을 하겠느냐는 우려다. 우선 국내 정책부터 제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센터를 남북과 인접해 있고 교포들이 많은 중국, 일본 등에 설치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근본적으로 한국 정부의 통일 정책은 자주 통일인데 통일부가 남북이 아니라 해외에 신경쓴다는 우려도 나온다. 통일에 대한 외교도 필요하지만 이는 외교부 소관 업무가 아니냐는 것이다.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