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이 시위대와 대화를 진행하고 평화적 시위를 유도하는 대화경찰관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경찰청은 스웨덴 대화경찰을 모티브로 국내 집회시위 문화를 고려한 한국형 대화경찰관 제도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NK경제가 입수한 경찰청의 '한국형 대화경찰관제 도입 및 운영계획'에 따르면 대화경찰관은 집회시위 신고 접수단계부터 주최 측과의 충분한 교류 및 대화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집회진행 도우미로서 필요한 신뢰를 구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경찰은 기존 정보관을 중심으로 집회시위 주최 측, 참가자와 형성한 대화 채널에 경비경찰(현장소통팀)도 참여하도록 해 신뢰를 확대할 방침이다.

대화경찰관 선발을 위해 경찰청은 집회 시위의 규모ㆍ성향에 따라 탄력적인 대화경찰관 운영이 가능토록 정보ㆍ경비별 적임자를 선정해 인력풀을 구성할 방침이다. 스웨덴은 대화경찰을 상설조직이 아닌, 집회 시위 시 일시적으로 구성하고 있는데 이를 벤치마킹하려는 것이다.

경찰청은 상황이 예고된 경우 전담 ‘대화경찰관’을 지정하고 돌발상황에 대비해 정보관 중 ‘예비 대화경찰관’을 지정하는 방식을 고려하고 있다.

대화경찰관은 인권 대화기법, 갈등중재, 군중심리 등 현장 상황관리에 필요한 과목 중심으로 1주간 교육을 받게 된다.

대화경찰관은 집회신고 접수 시 주최측에 ‘대화경찰관’ 운영 동의 여부를 확인해 동의할 경우 집회시위의 규모ㆍ성향에 따라 배치규모 등이 결정된다. 집회시위 경력배치 시부터 상황 종료 시까지 관할 경찰서 정보과장은 대화경찰관을 총괄 관리하며 집회시위가 평화적으로 진행되도록 조력자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대화경찰관은 경찰ㆍ집회참가자 간의 갈등중재가 주요 업무로 주최측ㆍ참가자의 중재 요청 시 중간자 입장에서 중재를 하게 된다. 경찰의 입장 뿐 아니라 주최 측의 입장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이 대화경찰의 역할이다.  

경찰청은 폭력시위를 줄이고 집회가 폭력적으로 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대화경찰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경찰청은 올해 하반기 중 대화경찰 운영을 시작하고 내년에 전면 확대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강진규 기자  maddog@nkeconomy.com

 

저작권자 © NK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